리스트 예시: 게시물이 존재할 경우 3건을 노출합니다.
-
통계학
생존분석: 경쟁위험(Competing risk)
생존분석을 비롯한 콕스비례위험 분석을 포함한 분석들은 일변량 생존자료 (event/non-event)에만 초점을 두고 있음 But, 다변량 생존자료의 경우도 많이 존재함. (1) 한 환자가 동일한 질환을 여러번 반복해서 경험하는 경우 (재발/ 입원/치료 등) -> reccurent event (재발 또는 반복 사건 자료) (2) 코호트와 같은 관찰연구에서 서로 다른 개체(대상)들이 동일한 이벤트를 동시에 경험하여 관측된 경우 -> clustered (or correlated) data (군집, 또는 상관된 자료) 관찰연구와 같은 종적연구(경시적 자료)에서 한 대상은 서로 다른 유형의 사건(event)를 경험할 수 있음 예) EVENT1 (심혈관 입원) -> EVENT2 (사망) 이러한 경우를 경쟁위험(c..
-
통계학
생일 문제 (Birthday problem)
사람이 생각하는 (인간의 직관)과 다른 결과를 도출하는 경우 (역설적인 상황) 임의의 N명이 모였을 때, 이 중 두명이 생일이 같을 확률은? 이란 상황을 생각해 볼 때 1년은 365일, 윤년(leap year)인 경우 2월 29일 포함하여 366일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직관적으로 드는 느낌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하지만... 위키백과에 "생일문제"를 검색하면 다음과 같은 그림을 볼 수 있음 위 그림은 인간의 직관과 달리 23명 이상 모이면 이 중 두 명이 생일이 같은 확률이 1/2 (50% 이상)임을 보여준다. N=23 , 두 명이 생일이 같을 확률: 0.51 N=50 , 두 명이 생일이 같을 확률: 0.97 n=100, 두 명이 생일이 같을 확률: 0.9999997로 거의 1에 가까움 N명의 ..
-
환경역학
FOAD 가설
성인 질환의 태중 기원설 (Fetal origin of adult disease, FOAD) 영국 역학자 데이비드 바커(David Barker)에 의해 처음 제기되어 '산모의 불충분한 영양, 자궁 내 환경 노출이 태아 시기 조직과 기관을 생성하는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에 영향을 미쳐 이 시기의 지속적인 자극이 성장 후 당뇨나 심혈관계 질환 등을 겪을 수 있다는' 바커 가설 (Barker's hypothesis)은 태아 프로그래밍(fetal programming) 또는 성인 질환의 태중 기원설(Fetal origin of adult disease, FOAD) 효시가 되었음 명확한 생물학적 기전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으나 산모의 태반을 통한 영양 공급 부족에 대한 적응이, 태아의 조직, 장..
갤러리 예시: 게시물이 존재할 경우 4건을 노출합니다.